워드프레스 사이트소유권은 어디서 확인하는가?
워드프레스 사이트인데, 애드센스 신청시,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때 아래 이미지에 따라 각 스니펫을 어디에 복사해야 할까요? adx.txt스니펫의 경우는 코드 스니펫을 입력하면 업로드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어디에 이파일이 있조?)

워드프레스에서 애드센스 코드/ads.txt 스니펫 적용 방법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구글 애드센스의 사이트 소유권 확인을 위해 애드센스 코드(스크립트) 또는 ads.txt 스니펫을 사이트에 추가해야 합니다. 각각의 방법과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애드센스 코드(스크립트) 삽입 방법
- 구글에서 제공한
<script async src=...></script>
코드는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의<head></head>
태그 사이에 삽입해야 합니다. - 워드프레스에서는 직접 파일을 수정하거나, 플러그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테마 파일(header.php) 직접 수정
- 워드프레스 관리자 > 외모 > 테마 파일 편집기에서
header.php
파일을 찾습니다. <head>
와</head>
사이에 애드센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단, 테마 업데이트 시 코드가 사라질 수 있으니 차일드 테마 사용을 권장합니다.
2. 플러그인 사용 (권장)
- WPCode, Ad Inserter 등 코드 삽입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 플러그인 설정에서 헤더(head) 영역에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 이 방법은 테마 변경/업데이트에도 코드가 유지되어 안전합니다.
ads.txt 스니펫 적용 방법
- 구글에서 제공한 ads.txt 스니펫은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 사이트의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예:
https://example.com/ads.txt
)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 ads.txt 파일은 광고 신뢰도와 수익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적용해야 합니다.
1. 직접 업로드
- 메모장 등 텍스트 편집기로 ads.txt 내용을 붙여넣고 ads.txt로 저장합니다.
- FTP, 파일 관리자, 또는 호스팅의 파일 업로드 기능을 이용해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합니다.
2. 플러그인 사용
- 서버 접근이 어렵다면, Ads.txt Manager 등 ads.txt 파일 관리를 지원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요약 표
방법 | 위치/경로 | 적용 방법 요약 |
---|---|---|
애드센스 코드 | 모든 페이지 <head></head> | header.php 직접 수정 또는 플러그인 |
ads.txt 스니펫 | 사이트 루트 /ads.txt | FTP/파일매니저 업로드 또는 플러그인 |
결론
- 애드센스 코드: 워드프레스의
<head></head>
영역(주로 header.php)에 직접 삽입하거나, WPCode/Ad Inserter 같은 플러그인으로 삽입하면 됩니다. - ads.txt: ads.txt 파일을 만들어 사이트 루트(최상위 폴더)에 업로드하거나, 관련 플러그인으로 관리합니다.
둘 중 하나만 요구된 것이 아니라면, 둘 다 적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사이트 소유권 확인 및 광고 정상 게재를 위해 위 방법을 따라 적용하세요. 애드센스 승인은 언제나오게 되나??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