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써치콘솔-✅ 2단계, 속성 추가 (웹사이트 등록)

✅ 2단계: 속성 추가 (웹사이트 등록) – 자세한 설명

구글 서치콘솔에 웹사이트를 등록할 때 두 가지 속성 유형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각각의 차이점과 설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속성유형선택하기


1️⃣ 속성 유형 선택 (도메인 속성 vs. URL 접두어 속성)

서치콘솔에서는 웹사이트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따라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속성 (권장)

  • 등록 예시:example.com
  • 포함 범위:

    • https://example.com, http://example.com
    • https://www.example.com,
      https://blog.example.com 등 서브도메인 포함
    • 프로토콜(HTTP/HTTPS) 관계없이 전체 추적 가능
  • 적용 대상:

    • 웹사이트의 모든 URL을 한 번에 관리하고 싶은 경우
    • 서브도메인(blog.example.com,
      shop.example.com)을 따로 운영하는 경우
    • HTTPS와 HTTP 버전을 모두 관리해야 하는 경우
  • 권장 이유:

    • 웹사이트 전체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볼 수 있어
      SEO 및 검색 성능 분석에 유리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면 사이트 전체를 한 번에 등록할 수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 URL 접두어 속성

  • 등록 예시:https://www.example.com
  • 포함 범위:

    • https://www.example.com만 추적
    • https://blog.example.com 또는
      http://example.com은 별도로 등록해야 함
    • HTTP와 HTTPS는 다른 속성으로 인식됨
  • 적용 대상:

    • 웹사이트의 특정 부분(서브도메인 없이 메인 도메인만)을 관리하고 싶은 경우
    • 하나의 특정 프로토콜(HTTPS/HTTP)만 추적하려는 경우
  • 제한점:

    • 서브도메인은 따로 등록해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로울 수 있음
    • 웹사이트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없음

🚨
만약 “www.example.com”과 “example.com”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면, 두
개를 따로 등록해야 합니다.


2️⃣ 소유권 확인 방법

웹사이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려면, 구글이
해당 사이트의 소유자가 맞는지 인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도메인 속성 소유권 확인 (DNS TXT 레코드 추가) – (추천)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면 DNS 레코드 추가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설정 방법:

  1. DNS 제공업체(예: 가비아, 카페24, GoDaddy, Cloudflare 등)에 로그인
  2. DNS 관리 페이지에서 “TXT 레코드 추가” 선택
  3. 구글에서 제공하는 TXT 레코드 값을 입력 (예:
    google-site-verification=xxxxxxxxxxxx)
  4. 저장 후 구글 서치콘솔에서 “확인” 버튼 클릭

🚀
이 방법은 한 번 설정하면 서브도메인 및 프로토콜 관계없이 모든 URL을 추적할
수 있어 가장 편리합니다.


🟢 URL 접두어 속성 소유권 확인 (여러 방법 중 선택 가능)

1. HTML 파일 업로드 (가장 많이 사용됨)

  1. 구글 서치콘솔에서 제공하는 HTML 파일 다운로드
  2.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public_html 폴더
    등)에 업로드
  3. 서치콘솔에서 “확인” 버튼 클릭

2. HTML 태그 삽입 (웹사이트 코드 수정 가능할 때 추천)

  1. 구글 서치콘솔에서 제공하는 HTML 메타 태그 복사
  2. 웹사이트의 <head> 태그 안에 붙여넣기

    html코드 복사
    <metaname="google-site-verification"content="xxxxxxxxxxxx" />

  3. 서치콘솔에서 “확인” 버튼 클릭

3. Google Analytics(UA) 연동 (기존 GA 사용 중일 경우)

  1. 구글 애널리틱스(Universal Analytics) 계정과 연결
  2. 사이트가 동일한 구글 계정으로 등록된 경우 자동 인증 가능

4. Google Tag Manager(GTM) 연동

  • 구글 태그 매니저를 사용 중이라면 인증 가능하지만,
    설정이 다소 복잡하여 초보자에게는 비추천

3️⃣ 소유권 확인 후 다음 단계

  • 소유권 인증이 완료되면 “확인되었습니다” 메시지가 표시됨
  • 구글이 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최대 48시간 정도 걸릴 수 있음
  • 등록이 완료되면 사이트맵 제출 및 색인 요청을 진행해야 함

결론 – 어떤 속성을 선택해야 할까?

1️⃣
“도메인 속성”을 사용하면 서브도메인 포함 전체 사이트를 쉽게 관리 가능 →
추천!

2️⃣
“URL 접두어 속성”은 특정 프로토콜(HTTPS/HTTP)과 서브도메인별로 관리할 때
필요

3️⃣
소유권 확인은 도메인 속성의 경우 DNS TXT 레코드 추가가 가장 편리

4️⃣
URL 접두어 속성의 경우 HTML 파일 업로드 또는 HTML 태그 삽입이 가장 쉬운
방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