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다양한 국면( 폴티의 36가지 극적 국면)
오늘은 폴티의 36가지 극적 국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르주 폴티(Georges Polti)의 “36가지 극적 상황(36 Dramatic Situations)”은 모든 극적 이야기의 기본 구조를 정리한 개념입니다. 그는 다양한 문학 작품과 희곡을 분석한 후, 모든 드라마틱한 이야기 전개가 36가지의 기본적인 갈등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정’과 비교할 때, 폴티의 36가지 국면은 더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갈등 상황을 제시합니다. ‘영웅의 여정’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구조와 주인공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면, 36가지 국면은 개별적인 갈등 상황에 더 집중합니다.
서론: 폴티의 36가지 극적 국면
조르주 폴티(Georges Polti)가 제시한 36가지 극적 국면은 드라마와 문학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갈등 구조를 체계화한 것입니다. 폴티는 1,200편의 명작 소설을 분석하여 이 국면들을 도출해냈으며, 이는 카를로 고치(Carlo Gozzi)의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폴티가 생각하는 갈등의 구조는 인간 경험의 보편성에 기반을 둡니다. 그는 모든 이야기가 근본적으로 이 36가지 상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이야기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 분류하려는 시도로, 문학과 드라마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본론: 36가지 극적 국면 목록
각 상황은 갈등의 핵심 요소와 등장인물 관계를 포함합니다.
1. 간청(Supplication)
- 억압받는 사람이 권력자에게 도움을 요청
- (예: 억울한 누명을 쓴 사람이 왕에게 용서를 구함)
2. 구출(Deliverance)
- 피해자가 구출됨
- (예: 납치된 공주를 구하는 기사)
3. 복수(Revenge)
- 불의를 당한 사람이 복수를 계획
- (예: 《햄릿》에서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려는 햄릿)
4. 가까운 사람에 대한 복수(Vengeance Taken for Kin Upon Kin)
- 가족 간의 복수
- (예: 《오이디푸스 왕》에서 가족 간의 비극)
5. 박해를 피함(Pursuit)
- 박해받는 사람이 도망
- (예: 도망자 영화, 탈옥 스토리)
6. 재앙(Disaster)
- 예상치 못한 불행이 닥침
- (예: 자연재해, 경제적 몰락)
7. 가문 파멸(Falling Prey to Cruelty or Misfortune)
- 가족이나 집단의 몰락
- (예: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몬태규와 캐퓰렛 가문)
8. 반항(Revolt)
- 억압에 저항하는 이야기
- (예: 《레미제라블》, 독립운동 이야기)
9. 대담한 기업(Daring Enterprise)
-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주인공
- (예: 《반지의 제왕》에서 프로도의 여정)
10. 유괴(Abduction)
- 누군가 납치되며 갈등 발생
- (예: 《테이큰》에서 아빠가 납치된 딸을 구하러 감)
11. 수수께끼(The Enigma)
- 풀어야 할 미스터리가 있는 이야기
- (예: 탐정 소설, 셜록 홈즈)
12. 얻어야 할 대상(Obtaining)
- 강력한 장애물을 극복하고 목표 달성
- (예: 인디아나 존스가 유물을 찾음)
13. 증오하는 친족(Enmity of Kin)
- 가족 간의 갈등
- (예: 형제끼리 왕위를 두고 싸움)
14. 경쟁(Rivalry of Kin)
- 가족 내 경쟁
- (예: 형제끼리 같은 여자를 사랑함)
15. 간통(Adultery)
- 불륜이 주된 갈등 요소
- (예: 《안나 카레니나》)
16. 사랑에 눈이 멈(Sexual Sin)
- 금지된 사랑 이야기
- (예: 근친상간, 나이 차이 극복 등)
17. 살인을 한 연인(Murderous Adultery)
- 불륜 관계에서 살인이 발생
- (예: 사랑하는 이를 위해 배우자를 살해)
18. 가문 내 살인(Involuntary Crimes of Love)
- 사랑하는 사람을 모르고 해침
- (예: 오이디푸스가 아버지를 죽임)
19. 두 사랑 사이의 갈등(Slaying of a Kinsman Unrecognized)
-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고 해침
- (예: 테세우스 신화)
20. 희생(Sacrifice for Ideals)
- 신념을 위해 희생
- (예: 순교자, 혁명가)
21. 사랑을 위한 희생(Sacrifice for Loved Ones)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희생
- (예: 《타이타닉》에서 잭이 로즈를 위해 죽음)
22. 열정에 의한 모든 것의 희생(Sacrifice of Passion)
- 사랑 때문에 인생을 망침
- (예: 사랑을 위해 왕위를 포기)
23. 필요에 의한 범죄(Crime of Necessity)
- 어쩔 수 없이 범죄를 저지름
- (예: 《레미제라블》에서 장발장이 빵을 훔침)
24. 친족에 대한 범죄(Discovery of the Dishonor of a Loved One)
- 가족의 불명예를 알게 됨
- (예: 아버지가 범죄자라는 걸 알게 됨)
25. 사랑하는 이의 상실(Loss of Loved Ones)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음
- (예: 연인이 죽는 로맨스 이야기)
26. 사랑에 대한 장애(Obstacles to Love)
- 신분, 종교, 문화 등의 차이로 사랑이 어려움
- (예: 《로미오와 줄리엣》)
27. 사랑을 잃고 난 후 다시 찾음(An Enemy Loved)
- 원수와 사랑에 빠짐
- (예: 원수였던 사람이 연인이 됨)
28.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싸움(Rivalry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 계급 차이로 인한 갈등
- (예: 평민과 귀족의 사랑)
29. 마법의 힘(The Loved One’s Fatal Mistake)
- 실수로 인해 연인을 잃음
- (예: 오해로 인한 비극적 결말)
30. 신들과의 대결(Mistaken Jealousy)
- 오해로 인해 질투심이 폭발
- (예: 오셀로에서 데스데모나를 의심한 오셀로)
31. 오해(Madness)
- 정신적으로 이상해지는 이야기
- (예: 《조커》, 정신병자의 이야기)
32. 망각의 인간(Fatal Imprudence)
- 부주의한 행동으로 인해 비극 발생
- (예: 주인공이 실수로 가족을 죽임)
33. 사랑하는 이의 죽음(The Fall of the Foolish)
- 어리석음으로 몰락
- (예: 욕망 때문에 패망하는 캐릭터)
34. 존경받던 존재의 몰락(The Fall of the Proud)
- 오만한 자가 몰락하는 이야기
- (예: 마왕이 몰락)
35. 잃어버린 것의 발견(Recovery of a Lost One)
- 잃었던 사람을 다시 찾음
- (예: 부모를 찾는 입양아 이야기)
36. 잃은 후 깨닫는 가치(Loss of Loved Ones)
- 사랑하는 사람이 죽고 나서야 소중함을 깨달음
- (예: 후회하는 주인공)
🎭 활용법
✔ 소설, 영화, 연극, 드라마의 플롯 구상에 사용
✔ 스토리텔링에 갈등 요소를 추가할 때 유용
✔ 작가나 시나리오 작가가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때 참고
어떤 극적 국면이 가장 흥미롭게 느껴지나요? 😊
결론: 36가지 국면의 의의와 한계
폴티의 36가지 극적 국면은 이야기의 기본 구조를 체계화하려는 노력의 결과물로, 문학과 드라마 분석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분류법의 강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편성: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갈등 구조를 제시합니다.
- 분석 도구: 작품의 핵심 갈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창작 영감: 작가들에게 다양한 갈등 상황의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 구조적 이해: 이야기의 기본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나 이 접근 방식에는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합니다.
- 단순화의 위험: 복잡한 이야기를 지나치게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 현대성 부족: 현대의 다양한 갈등 상황을 모두 포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문화적 편향: 서구 중심적인 관점에서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융통성 부족: 새로운 형태의 갈등이나 복합적인 상황을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폴티의 36가지 극적 국면은 이야기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현대의 복잡한 narrative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이야기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렌즈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작가와 분석가들은 이 틀을 기본으로 하되, 현대적 맥락과 개인의 창의성을 결합하여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