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니펫에서 JSON-LD까지

스니펫 무엇일까?

메타 디스크립션을 아시나요? 검색 엔진 결과에서 제목 아래에 나타나는 서너 줄의 요약 텍스트스니펫(Snippet)이라고 부릅니다.

스니펫의 종류:

  1. 일반 스니펫 (Regular Snippet):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의 내용 중 일부를 자동으로 가져와 보여주는 형태입니다. 이 텍스트는 검색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가장 관련성 높은 부분을 선택해 표시됩니다.

  2. 구조화된 스니펫 (Rich Snippet): 별도의 구조화된 데이터(예: Schema.org)를 활용해 작성된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상품 리뷰, 레시피, 이벤트 같은 정보가 더 잘 보이도록 별도의 포맷으로 표시됩니다.

  3. 추천 스니펫 (Featured Snippet): 검색 결과 맨 위에 표시되는 요약 정보로,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 이 스니펫은 일반적으로 표, 목록, 문단 형태로 제공됩니다.


메타 설명과 스니펫의 관계

  • 메타 설명(meta description)은 HTML <meta> 태그를 통해 제공된 웹페이지의 요약입니다. 검색 엔진이 이 메타 설명을 스니펫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페이지 내용 중 더 관련성 있는 부분을 선택해 스니펫을 표시하기도 합니다.

스니펫 최적화 방법:

  1. 메타 설명 작성: 150자 내외의 요약으로 페이지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세요.
  2. 제목과 일관성 유지: 제목과 본문이 잘 연결되어야 스니펫에 유리합니다.
  3. 구조화된 데이터 사용: Schema.org와 같은 마크업을 사용하면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최적화 작업을 통해 검색 엔진에서 눈에 잘 띄는 스니펫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니펫 최적화를 위해 작성한 블로그 글을 다음과 같이 개선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스니펫은 메타 설명과 페이지 본문의 첫 문장 등으로 결정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스니펫 최적화된 블로그 글 예시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eta name="description" content="디지털 교육 쿠폰과 AID 선도대학 프로그램으로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재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평생교육 바우처와 함께 직무 전환의 기회를 만나보세요."> <meta name="keywords" content="디지털 교육, AID 선도대학, 집중캠프, 재교육, 평생교육 바우처, 직무 전환"> <title>디지털 교육 쿠폰: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재교육 프로그램</title> </head> <body> <header> <h1>디지털 교육 쿠폰: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재교육 프로그램</h1> </header> <article> <p>정부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AID 선도대학과 집중캠프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평생교육 바우처를 통해 저소득층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직무 전환을 준비하는 성인 학습자에게 적합합니다.</p> </article> </body>

스니펫 최적화 방법 설명

  1. 메타 설명의 활용:

    • <meta name="description">에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디지털 교육 쿠폰과 AID 선도대학 프로그램으로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재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라는 내용을 담아, 사용자가 글의 주요 주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메타 설명은 150자 내외로 작성해 검색 결과 페이지에 완전히 표시되도록 합니다.
  2. 페이지 첫 문장 최적화:

    • 본문 첫 문장에 핵심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합니다. 예시에서는 "디지털 교육", "AID 선도대학", "직무 전환" 같은 키워드를 사용했습니다.
    • 구체적인 혜택(평생교육 바우처, 저소득층 지원)을 포함해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구성했습니다.
  3. 제목 태그와 메타 설명의 일관성 유지:

    • <title> 태그와 메타 설명이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교육 쿠폰"과 "30세 이상 성인"이라는 주제를 일관되게 유지해 검색엔진이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했습니다.
  4. 구조화된 데이터 사용 가능성:

    • Schema.org의 마크업을 추가하면 리치 스니펫으로 표시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JSON-LD 스키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EducationalOccupationalProgram", "name": "AID 선도대학 프로그램", "description":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재교육 프로그램", "provider": { "@type": "GovernmentOrganization", "name": "대한민국 교육부" } } </script>

이 최적화의 효과:

  • 검색결과 클릭률(CTR) 증가: 간결하면서도 매력적인 메타 설명은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합니다.
  • 정확한 키워드 매칭: 검색엔진이 페이지 주제와 일관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상위 랭킹에 도움을 줍니다.
  • 리치 스니펫 가능성 증가: 구조화된 데이터는 리치 스니펫으로 표시될 확률을 높여 더 많은 주목을 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글을 최적화하면, 더 나은 검색 순위와 방문자 유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관된 최적화 글을 작성하기 위해  JSON-LD 스키마(Schema)를 사용하면 검색엔진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 SEO에 매우 유리합니다. 특히, EducationalOccupationalProgram 같은 스키마는 교육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데 적합합니다.

일관된 최적화 글을 위한 JSON-LD 스키마 예시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EducationalOccupationalProgram", "name": "AID 선도대학 프로그램", "description": "30세 이상 성인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평생교육 바우처를 통한 저소득층 지원이 가능합니다.", "provider": { "@type": "GovernmentOrganization", "name": "대한민국 교육부", "url": "https://www.moe.go.kr" }, "educationalCredentialAwarded": "디지털 직무 인증서", "occupationalCategory": "디지털 직무 전환", "programPrerequisites": "30세 이상 성인", "programMode": "주말 및 평일 저녁", "hasCourse": { "@type": "Course", "name": "AID 30+ 집중캠프", "courseMode": "집중 교육 캠프", "provider": { "@type": "EducationalOrganization", "name": "AID 선도대학" } }, "offers": { "@type": "Offer", "price": "350000 KRW", "priceCurrency": "KRW", "eligibleRegion": { "@type": "Place", "name": "대한민국" }, "availability": "https://www.moe.go.kr/aid-program" } }

스키마의 주요 구성 요소 설명

  1. @context와 @type:
    • @context: Schema.org를 사용하는 것을 선언합니다.
    • @type: 이 스키마는 EducationalOccupationalProgram 타입으로, 교육 및 직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정의합니다.
  2. 프로그램 정보:

    • name: 프로그램 이름(AID 선도대학 프로그램).
    • description: 프로그램의 목적과 혜택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 provider: 프로그램 제공 기관(대한민국 교육부)을 정의하며, 공식 웹사이트 URL도 포함합니다.
  3. 프로그램 구성:

    • educationalCredentialAwarded: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인증서를 명시합니다.
    • occupationalCategory: 프로그램이 다루는 직무 또는 분야를 정의합니다.
    • programPrerequisites: 참여를 위한 자격 요건을 명시합니다.
  4. 강좌 정보:

    • hasCourse: 프로그램 내의 특정 강좌(AID 30+ 집중캠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5. 제공 정보:

    • offers: 프로그램 비용과 지역별 유효성을 명시합니다.

이 JSON-LD 스키마의 SEO 효과

  1. 구조화된 데이터 제공: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주요 정보(프로그램 이름, 제공자, 가격 등)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2. 리치 스니펫 가능성: 검색 결과에 보다 시각적이고 직관적인 정보가 표시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3. 검색 엔진 최적화 강화: 일관된 키워드와 정보 제공으로 SEO 점수를 높이고 검색 순위를 향상시킵니다.

이와 같은 스키마를 활용하면, 검색엔진이 페이지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