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음Daum, 빙Bing, 구글Google의 웹마스터 도구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각 도구의 설정 과정과 주요 기능 활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웹마스터 도구들 |
1. 다음 웹마스터 도구
설정 과정
- 다음 계정 생성: 다음 포털(www.daum.net)에서 계정을 만듭니다.
- 웹마스터 도구 접속: https://webmaster.daum.net/ 에 접속합니다.
- 사이트 추가:
- '사이트 추가' 버튼 클릭
- 웹사이트 URL 입력
- 소유권 확인 방법 선택 (HTML 파일 업로드 또는 메타 태그 추가)
- 확인 과정 완료
주요 기능 활용
- 사이트맵 제출:
- '사이트맵' 메뉴 선택
- 사이트맵 URL 입력 및 제출
- 수집 현황 확인:
- '수집 현황' 메뉴에서 크롤링 상태 확인
- 검색어 보고서 활용:
- '검색어 보고서' 메뉴에서 유입 키워드 분석
- 오류 페이지 관리:
- '오류 페이지' 메뉴에서 404 오류 등 확인 및 조치
2. 빙 웹마스터 도구
설정 과정
- Microsoft 계정 생성: 계정이 없다면 새로 만듭니다.
- Bing Webmaster Tools 접속: https://www.bing.com/webmasters/ 방문
- 사이트 추가:
- 'Add your site' 클릭
- 웹사이트 URL 입력
- 소유권 확인 (XML 파일 업로드, 메타 태그 추가, 또는 DNS 레코드 추가)
주요 기능 활용
- 사이트맵 제출:
- 'Sitemaps' 섹션에서 사이트맵 URL 제출
- 크롤링 통계 확인:
- 'Crawl' 메뉴에서 크롤링 상태 및 오류 확인
- 검색 성능 분석:
- 'Search Performance' 에서 클릭률, 노출 등 확인
- URL 검사:
- 'URL Inspection' 도구로 특정 URL의 인덱싱 상태 확인
3. 구글 서치 콘솔
설정 과정
- Google 계정 생성: 계정이 없다면 새로 만듭니다.
-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 속성 추가:
- 'URL 접두어' 또는 '도메인' 중 선택
- 웹사이트 URL 입력
- 소유권 확인 (HTML 파일 업로드, HTML 태그, Google Analytics 코드, 또는 DNS 레코드 추가)
주요 기능 활용
- 사이트맵 제출:
- '색인 생성' > '사이트맵'에서 사이트맵 URL 제출
- 성능 보고서 분석:
- '성능' 탭에서 클릭수, 노출수, CTR, 평균 순위 등 확인
- URL 검사:
- 'URL 검사' 도구로 특정 페이지의 색인 생성 상태 확인
- 모바일 사용 편의성 테스트:
- '모바일 사용 편의성' 보고서로 모바일 최적화 상태 확인
- 핵심 웹 바이탈 모니터링:
- '핵심 웹 바이탈' 보고서로 페이지 성능 메트릭 분석
결론
각 웹마스터 도구는 고유한 특징과 장점이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 시장에 특화되어 있고, 빙은 글로벌 시장 특히 영어권에서 강점을 가지며, 구글은 가장 포괄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최적의 SEO 결과를 위해서는 이 세 도구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도구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면 더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검색 엔진에서의 웹사이트 성능을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각 도구를 확인하고, 제공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세요. SEO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며, 이러한 웹마스터 도구들은 그 과정에서 invaluable한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참고: 다음 핀코드
mesektok.tistory.com
#DaumWebMasterTool:338ec98b2eaeb50c9a02c40204cce8ff9699e6d7bf43ce9387f1c4bba3d74413:jhPxD4w9OyYb1P1QF2oOfg==
gana.today
#DaumWebMasterTool:2d752555f552aaaf99e9c3c00066c4a104bf82fa3f7a5c7b0fa08c4716111a0b:jhPxD4w9OyYb1P1QF2oOf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