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에 이르는 길 위에서 그렇게 많은 부끄러움을 극복할 수 없다면 인식의 매력은 적을 것이다."
- 프리드리히 니체
문학은 용기다?
처음에 '문학은 용기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좀 의아했어요. "문학은 글을 쓰는 예술이고, 용기는 어떤 행동을 할 때 필요한 굳센 마음인데 둘이 무슨 관련이 있을까?"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글을 읽고 쓰는 경험이 쌓이다 보니, 그 말의 진짜 의미가 다가오더라고요.
좋은 글에는 어떤 '금기'나 '위반' 같은 것들이 있어요. 차마 말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꺼내고, 감히 생각해 보지 못했던 것들을 글로 적어 내려가는 과정에서 문학적 용기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죠. 글을 쓰다 보면 작가의 용기에 감탄하게 되고, 그 용기가 나에게도 스며드는 것 같아요.
글쓰기와 용기, 왜 연결될까?
용기의 여러 모습
어쩌면 용기란 '실패할 수 있는 용기'가 아닐까요? 첫 문장을 어설프게 쓰는 용기,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용기,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는 용기,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용기, 그리고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다시 시작하는 용기까지... 글쓰기는 이처럼 용기가 반복되는 과정인 것 같아요. 시인 이성복도 말했죠, "글쓰기는 우리를 전복시키는 일"이라고요.
글쓰기는 용기가 필요한 창의적인 여정 |
글쓰기의 부끄러움과 친해지기
처음에는 내 생각과 감정을 글로 적어서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게 너무 부끄러웠어요. 몸이 구부러질 정도로 쑥스러웠죠. 하지만 꾸준히 쓰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접하면서 조금씩 부끄러움이 덜해졌어요. 안 쓰고 안 부끄러운 것보다는, 쓰고 부끄러운 게 더 낫다는 결론에 이르렀죠.
글을 쓰면서 부끄러움이 커졌다가 한꺼번에 터져 나가면 오히려 속이 시원해지더라고요. 그리고 내가 어리석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게 가장 큰 쾌감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마지막으로
사람마다 '부끄러움을 극복하는 용기의 구간'은 다를 거예요. 어느 글쓰기 수업을 들었던 학생이 이렇게 말하더군요. "이전 수업에서는 쓸 말이 없어서 고생했는데, 이번에는 쓴 글을 줄이느라 힘들었어요. 달라진 점은 하고 싶은 말이 생겼다는 것과 나를 드러내는 부끄러움이 줄었다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