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1, with MAKE, AI글쓰기 들어가기
with make를 알아보자
시나리오, 웹이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여기서 웹이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까요, 그리고 이서비스를 하나는 목적에 맞게 엮어가는 것을 시나리오라고 부릅니다. 이야기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어떻게 표햔 할것인가가 시나리오였듯이 말입니다.
이야기를 영상화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라는 영상 이야기로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야기라는 글을 시나리오라는 영상언어로 바꾸는 포맷이 존재하는 것이조!! 포맷이라고 나옵니다. 이떤 약속이 있다. 이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사람들은 이 약속에 관심이 없습니다.
우린 관심이 있조.!! 시나리오
먼저, 모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모듈을 정의해보면 모듈은 웹이다. 웹은 서비스다. 이렇게 생각하면 될것 같아요.
웹의 종류는 4가지가 있다.
첫째, ACTION이다. 무엇인가 행동한다. 둘째, 서치이다.
둘째, Searches서치이다.
특정 시트, 엑셀에서 무엇인가 찾아내고 가져옵니다.
세째, 트리거입니다.
방아쇠를 당겨라. 첫번째 웹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트리거는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폴링트리커와 인스탄트트리거가 있습니다. 서비스를 감시하고
인스탄트 트리거는 ...
세번째는 이터레이터입니다.
마지막으로 집계입니다. 여러개의 정보를 합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주제는 시나리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번째, 시나리오
단순한 웹, 날씨는 입력할 값이 지역값만 있었습니다.
날씨가 맞는지 확인해 봐야조
값을 저장할 모듈, 구글 시트를 불러옵니다.
지금까지 반복적으로 받아볼수 있는 단순한 프로세스를 알아봤습니다. 이때 우리는 시간 간격마다 자료를 저장할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말이조, 스케줄링에 값을 부여하면 자동으로 값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제 좀더 앞으로 나가봅시다. 두번째 주제는 라우터와 필터기능입니다.
라운터는 받은 데이터의 흐름을 여러개로 분산시킬수 있는 기능입니다. 통신에서 라우터가 있조. 통신에서 사용했던 용어인데, 원하는 주소를 찾아가도록 했던 라우터라는 장비가 있고 그장비의 대표주자로는 시스코라는 회사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주어진 동작을 분산시킵니다.
첫째, 라우터는 뭐지?
그리고 이라우터에 필터기능을 추가하면 구체적으로 다른 경로에 도달하도록 지시할수있습니다. 필터링하라....입니다.
어떤 필터링을 준것인가요? 온도가 20이하일 경우, 온도가 20도를 초과할 경우이내요. 화씨와 섭씨온도에 대해서도 지정해야 할것 같습니다. 이러한 지정을 우리는 필터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공부한다는 것은 이처럼, 새로운 용어에 대해서 알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고 좀더 차원이 높아지면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내거나, 배우지 않았지만 알아가는 추즉하는 사고하는 과정을 가지는 것이겠조.
/온도의 값에 따라 필터링되어 라우팅됩니다.
두번째, 필터
일단 첫번째, tools에가면 네가지 케이스가 준비되어 있더라고,
액션에 대한 동작으로 우리는 라우터를 선택하는 것이지, 이렇게 하나의 라우터에 두개의 필터를 적용하도록 구글시트를 드러그로 선택하고 카피-페스트로하나를 더만들겠습니다. 이렇게 두개의 필터를 만들면 구체적인 .... 두개의 라우터를 통해 시트에 도달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텍스트 오포레이터들이 아주 많이 준비되어있는데요.
시간 날짜를 통해서 제어를 할수 있습니다.
이정도로 살펴보고
실제적으로 비가오는 경우에 구체적인 케이스를 적용해보겠습니다.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 특별한 이벤트만 있을 때 가져오게 됩니다. 자동화란 무엇입니까? 스케줄링에 따라서...동작하게 합니다.
세번째, 트리거
이제 트리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스케줄의 시작은 트리거링으로 부터 시작됩니다.
첫째, 폴링트리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다음으로 스케줄링을 하게 됩니다.
-자동화가 가능하다.
토글버튼이 오프에서 온으로 바꾸어줍니다.
run once, 시나리오 전체를 실행합니다. 하단에는 작업에 대한 기록이 적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