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강]강의자료-나만의 gpts
이렇게 만들어진 만들어진 글을 리스 버전으로 작성하는 글쓰기 마스터로 하려고 하면 어떤 절차를 가질까?
좋은 방향이에요! “GTS 구조”처럼 논리적 흐름을 따르는 리스(LIST) 기반 글쓰기 마스터를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정리할 수 있어요:
✅ 1단계: 글쓰기 구조 정의하기
먼저, ‘LIST 글쓰기’가 어떤 구조인지 정의해야 해요. 예를 들어:
- L (Lead-in): 관심을 끄는 도입
- I (Items): 핵심 항목 나열 (보통 숫자나 bullets로)
- S (Support):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이나 근거
- T (Takeaway): 핵심 요점 정리 or 행동 촉구
또는 단순하게:
- 도입 → 목록 → 요약 구조로도 설계 가능해요.
🛠️ 2단계: GPT 행동 지침 구성하기
GTS 마스터 만들 때처럼, 이 GPT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톤과 형식을 유지해야 하는지 정해야 해요.
예를 들면:
- 사용자가 주제를 주면, 핵심 항목을 3~5개 정도 뽑고
- 각 항목에 설명과 팁을 붙이며
- 마지막엔 요약이나 실전 팁으로 마무리
🎨 3단계: 스타일과 톤 설정
- 블로그용이면 가볍고 친근하게
- 보고서용이면 정제되고 간결하게
- 마케팅용이면 설득력 있게
필요한 이모지, 강조 문구, Call to Action 등도 조절할 수 있어요.
🧪 4단계: 이름 짓고 실험하기
예:
- LIST 글쓰기 마스터
- 핵심만 뽑는 리스트 전문가
- 리스트 블로그 챔피언
이후 이름 정하고, 스타일 맞춰 프로필 이미지 만들고, 실제 주제로 테스트해보면 됩니다.
원하신다면 제가 지금 바로 이 GPT도 만들어드릴 수 있어요. 시작해볼까요? 😊
혹은 어떤 구조(LIST)의 흐름으로 가고 싶은지부터 구체화해도 좋아요!